장디자인아트는 11월 16일(수)부터 12월 10일(토)까지 차민영의 개인전 《Charader: 전달자》를 개최한다. 전시 제목 《Charader: 전달자》는 초창기 무성영화 시대에 언어를 동원하지 않고, 사상(思想)과 심상(心象)을 전달하는 셔레이드(charade) 기법과 연관하여, 작가는 자신을 《Charader: 전달자》로 지칭하고, 현대 사회의 장소성 확장에 대해 다각적인 시선으로 탐구하며, 설치와 영상 매체를 통해 작가만의 비언어적 수단으로 시각화하여 전달한다.
작가가 생각하는 장소성은 물리적인 입지로써의 공간을 넘어서 가상의 공간 그 전체를 포함하며, 이와 더불어 발현되는 개체 간의 모든 관계를 의미한다. 인간은 언제나 장소의 지배를 받고 있고, 장소는 인간 실존의 근원적 중심이며, 장소는 인간의 체험 행위, 의미, 시공간적 환경 전체를 포괄한다고 말한다. 이에 여행용 가방이라는 일상적 오브제에 초현실적인 공간을 새롭게 구성하여 장소에 대한 해방감을 유도한다.
<Suitcase Chain>은 전시 타이틀인 ‘셔레이더’의 숨은 의미이기도 한 ‘행위자’에 초점을 맞춘 작업으로, 길게 연결된 가방은 행위자 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작가가 생각하는 행위자는 단순히 인간 개체만이 아닌 비인간적 존재와 자연 등 모든 것을 포괄하고, 모든 것은 독립된 개체가 아닌 행위자로써 서로가 연결되어 공존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전시장 내에 들리는 벌소리는 현 시대에 보이지 않는 두려움을 상징한다. 이 두려움은 우리가 알 수 없는 또 다른 행위자의 움직임, 변화로 인한 영향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제할 수 없음에 대한 공포를 의미한다.
<Horizon> 시리즈는 실재에 기반하면서도, 예측 못할, 우연적 사건이 가져오는 환경적 기우 등 예기치 못한 사건과 상황들이 결합되어, 새로운 장면을 연출한다. 이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어떠한 자연의 상상적 기이한 현상을 통해 현대인의 깊이 내재된 정체 불명의 불안감과 공포심을 각자의 의식의 수면 위로 끌어내고 이를 관조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럼으로써 그 속에서 벗어나 나 자신을 환기시키고 자각시키는 잠시의 해방감을 제공한다.
<Splitting Site>는 시대에 따라 변하는 장소의 모습과 의미를 절단된 형태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Melting Frame>은 기술 가속화 사회로 인한 지구의 환경 변화를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Inter Object>시리즈는 생활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곳들로, 현실 어디에는 존재하지만 우리가 관심을 가지지 않고 스쳐 지나가는 도시의 소외된 장소를 표현하며, 이는 우리의 감정과 기억을 소환하고, 무의식 깊숙이 자리한 아련함을 끌어낸다.
이번 전시는 현실과 가상으로 만들어진 세계를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현실과 무의식의 경계를 환기시키고, 또 다른 현실과 초현실을 마주하며 관객에게 가상적 자유를 부여한다.
Jean Designart is delighted to present Cha Minyoung's solo exhibition "Charader” from November 16 to December 10. The exhibition's title, "Charader" alludes to itself as "Charade" in the early days of silent film and uses installation and video to represent and convey it as a nonverbal means of the artist. Cha Minyoung figuratively conveys exploration of the growth of the Placeness of contemporary society using installation and video media.
The place that the artist thinks of means a virtual space beyond a physical space, along with al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CHA said that places are the essential center of human existence and that they encompass all human experience, meaning, and the space-time environment. travel bags provide a feeling of liberation from the location by newly constructing a surreal space in everyday objects.
Suitcase Chain is an artwork that emphasizes "activity," which is also a subtext of the exhibition's name, "Charader." A lengthy bag with connections denotes a relationship between people. The artist believes that everything, including tangible and non-tangible is a part of us. Everything conveys our interconnectedness and ability to coexist.
The <Horizon> series is based on reality, but it is also unexpected, such as unpredictable, accidental environmental conditions events or situations combine to create a new scene. It is a hypothetical natural phenomenon that doesn't exist. The imagined weirdness of nature that doesn't exist puts people's deep-seated dread and panic to the forefront of their minds.
<Splitting Site> symbolically expresses the appearance and meaning of places that change with the times through cut forms. <Melting Frame> metaphorically shows changes in the Earth's environment due to a technology-accelerated society. <Inter Object> series is also designed for ease of use, expressing the detached urban landscapes that exist somewhere in reality but that we pass by without noticing. It brings up our emotions, memories, and even memories that are deeply buried in our unconscious. This exhibition evokes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unconsciousness by simultaneously showing the world created by reality and virtualization and gives the audience virtual freedom while facing another reality.
CV
EDUCATIONS
Doctor of Philosophy in Film and Digital media at Hongik graduate school
Master of Fine Arts in Printmaking at Hongik graduate University
Bachelor of Fine Arts in Printmaking at Hongik University
SOLO EXHIBITIONS
2022 Charader : 전달자, 장디자인아트, 서울
2021 STROL X CHA MIN YOUNG Art Collaboration_Inter-object: 공존의 틈, STROL, 광교
2021 Inter-object: 공존의 틈, 갤러리 위 초대전, 서울
2020 UNDERPASS_틈의 오브제, 표 갤러리 초대전, 서울
2019 이동하는 가방: 토포필리아(TopoPhilia)의 무대, 탐앤탐스 청담 초대전, 서울
2018 모던씨티-흐름들의 공간 (플랜비프로젝트스페이스 초대전, 서울
2017 이동하는 가방: 토포필리아(TopoPhilia)의 무대 (표 갤러리 초대전, 서울
2010 Missing Link (갤러리 잔다리 초대전, 서울
2009 "Cha Min Young Solo Exhibition" - PROJECTS 2009 ART DUBAI 초대전, 두바이, 아랍에미레이트
2008 Behind Negotiation, 갤러리 현대 윈도갤러리 초대전, 서울
2007 Duplex Reality, 표 갤러리 초대전, 서울
2006 Aimless Escape, 상하이 도란 현대미술관 초대전, 상하이, 중국
2006 Aimless Escape, 표 베이징 갤러리 초대전, 베이징
2006 Aimless Escape, 마카오 타이파 미술관 초대전, 마카오
2005 그녀가방에숨다!, 갤러리 빔 초대전, 서울
GROUP EXHIBITIONS
2022 치유의 기술, 뮤지엄원, 부산
2022 Puzzle, 신세계본점, 장디자인아트기획, 서울
2022 Opening A Whole New World 멋진 신세계를 열다, Soohoh gallery, 성남
2022 카카오 그라운드X 클립드롭스 NFT, 코엑스, 서울
2022 생동하는 공간의 세계, Soohoh gallery, 성남
2021 감각의 문법, 부산현대미술관, 부산
2021 치유의 화술, 뮤지엄다 X 롯데갤러리, 부산
2021 Post-Print 2021, 수림아트센터, 서울
2021 Express 2021, LG U+일상비일상의 틈, 서울
2021 New Nomal New My Way, 수호갤러리, 분당
2020 Process and Reality of Printmaking, 유나이티드 갤러리, 서울
2018 포스코 창립50주년 기념 특별전 ’제철비경- 위대한 순간의 기록‘, POSCO Art Museum, 서울
S2018 overeign Asian Art Prize Finalist Exhibition 5/8~10, Hart Hall at H Queen’s, 홍콩
2018 Sovereign Asian Art Prize Finalist Exhibition 4/26~5/5, The James Christie Room, Christie’s, 홍콩
2018 외곽의 지층들, 해움미술관, 수원
2018 번역된 건축, 우종미술관, 보성
2018 시간의 리듬- 사물에 새긴 흔적, 유나이티드 갤러리, 서울
2018 Flux-Moving image, 봄뜻 갤러리, 서울
2017 복제경(複製鏡) : 복제된 진천의 풍경, 생거판화 미술관, 진천
2016 Sovereign Asian Art Prize Finalist Exhibition 5/21~31, Exchange Square, 홍콩
2016 Sovereign Asian Art Prize Finalist Exhibition 5/8~12, The James Christie Room, Christie’s, 홍콩
2016 기호경(記號鏡) : 한글과 의미전달이 가능한 모티브, 생거판화미술관, 진천
2015 Familiar Otherness: Art Across Northeast Asia, Hongkong Art Centre, 홍콩
2014 돌아다니는 시각 : 이동 새로운 시나리오,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2014 Neon City, 롯데갤러리, 안양
2013 ‘은하철도의 밤’, 남포미술관, 전남
2013 Neon City, 롯데갤러리, 대전
2011 New Thinking, New Possibilities, H.art gallery, 광주
2011 ART CASTLE, Garden 5 , 서울
2010 ART OF ILLUSION, 대전시립미술관, 대전
2009 망막의 진실, 인터알리아 갤러리, 서울
2009 스펙터클과 현대미술, TELEVISION12, 서울
2009 Mad for Furniture, 갤러리 HZONe 기획, Nef space, 서울
2009 TAKE YOUR TIME, 갤러리 현대 기획, 갤러리 다르, 경기 광주
2008 작품의 재구성, 경기도 미술관, 안산
2007 상상충전, 경기도 미술관, 안산
2006 Liliput, MUSHROOM GALLERY, 뉴욕, 미국
2005 NANO in Young Artist, 대안공간 LOOP, 서울
2005 NANO in Young Artist, 갤러리 SSamzie, 서울
2005 INTERFACE/ 싸이코드라마2展, 경기문화재단 아트센터, 수원
2005 서울 청년 미술제 ‘포트폴리오 2005’,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5 Printed matter, Sunny, Buffalo UB 갤러리, 뉴욕, 미국
2004 미술관 '봄' 나들이展,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4 '꿈꾸는 나비', 유니세프 홀, 남이섬
2004 RED ROSE &POSCO, 포스코 미술관, 서울
2004 '걸리버 여행기', 성곡 미술관, 서울
2004 공공미술제 A.L project, 총신대학교 도서관, 서울
2004 NOTHING OR VINCENT, ANDY, 그린포토 갤러리, 서울
2004 '시사회' 展, team preview, 서울
2004 예술가는 마법사 展, 갤러리 아트사이드, 서울
2004 헤이리 겨울 빛 축제, 헤이리 갈대 광장, 파주
2004 LIGHTING PERFORMANCE, 필룩스 갤러리, 양주
2003 中. 家 .水 가는길에 집에 들어가 물을 마시다, 갤러리 아트링크, 서울
2003 ‘예술은 상상 이다’, 포스코 미술관, 서울
2003 Block Omnibus Project 3 ‘어느 낯선 행성의 결혼’,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03 HAPPY CHRISTMAS 2003, 포스코 미술관, 서울
2003 Block Omnibus Project 2 '5개의 집-그 안락함의 괴물‘, 갤러리예시, 서울
2003 국제 판화 교류전, 한국현대판화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03 '시사회' 展, team preview, 서울
2002 Block Omnibus Project 1 '시 계‘, 관훈 갤러리, 서울
2002 ‘12 그루의 나무’ 그 아름다운 이야기, 덕원미술관, 서울
2001 Border crossings 2001 (한국대표, 세계 순회 전시)
2000 ‘Media Virus' 展, 한전 프라자 갤러리, 서울
Art Fair & Auction
2022 Seoul Living Design Fair 2022 (서울)
2021 Start Art Fair 2021 (Saatchi Gallery, 런던, 영국)
2021 Seoul Art Show 2021 (서울)
2021 JAD Festa (Jeju design art festa, 제주)
2020 Korea Galleries Art Fair (서울)
2020 Asia Hotel Art Fair (서울)
2014 Start Art Fair (Saatchi Gallery, 런던, 영국)
2012 ‘A unique travel with samsonite' KIAF (서울)
2011 KIAF (서울)
2011 Korea Galleries Art Fair (서울)
2010 Christie's Asian Contemporary Art (홍콩)
2009 Christie's Asian Contemporary Art (홍콩)
2009 SH contemporary (상하이, 중국)
2009 Cutting Edge (서울, 한국)
2005 Seoul international Print, Photo & Edition works Art Fair 2005 (서울)
AWARDS
2018 소버린 아시안 아트 프라이즈 파이널리스트 Sovereign Asian Art Prize Finalist 30
2016 소버린 아시안 아트 프라이즈 파이널리스트 Sovereign Asian Art Prize Finalist 30
COLLECTIONS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과천)
포스코 미술관(서울)
'Galerie Baudoin Lebon' (프랑스)
David N Kowitz fairlight hall (영국)
경기도 미술관 (경기도)
부산현대미술관 (부산)
㈜ 프레인글로벌 (서울)
㈜ POSCO (포항)
(주) 네이버 (성남)
쿄토 플러갤러리(일본)
홍익대학교 박물관(서울)